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Network Basic15

[Casts] Broadcast 동작 방식 1. Broadcast Address Overview1) Local(Limited) Broadcast Address OverviewD-IP를 255.255.255.255인 한 개의 주소로 정의되어 사용장비는 Local Broadcast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된 포트를 제외한 동일 Broadcast Domain에 속한 모든 포트로 송신 2) Direct Broadcast Address OverviewSubnet을 통해 생성된 Broadcast Address를 Direct Broadcast Address라고 명칭라우터는 수신된 패킷의 D-IP가 본인이 아닌 경우, Net-ID만 보고 라우팅R2는 수신된 패킷의 D-IP가 Direct Broadcast인 경우, OIF에 Direct Broadcast가 설정되어 .. 2024. 4. 8.
[Casts] Multicast 동작 방식 1. Multicast Address Overview1) Multicast Address Overview한 번의 송신으로 데이터를 특정 그룹인 여러 장비에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의미IP의 Multicast는 D Class를 사용  2. Network Devices Receives Multicast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은 패킷을 수신하면 S-MAC Learning을 하고 D-MAC을 확인Multicast에 대한 각 네트워크 장비별 동작 방식 설명에는 VRRP를 사용하여 설명1) Hub Receives MulticastHub는 Multicast, Broadcast 패킷뿐만 아니라 어떤 프레임이 수신되어도 Flooding 2) Bridge Receives MulticastBridge는 VRRP 패킷을 수신하면 .. 2024. 4. 7.
[Casts] Unicast 동작 방식 패킷의 Cast 종류에 따라 호스트 및 네트워크 장비에서 다르게 처리패킷을 Cast 종류를 분류하는 것과 동작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 1. Unicast Address Overview1) Unicast Address Overview특정 장비의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일반적으로 1:1 또는 One-to-One 통신이라고 명칭  2. Bridge and Switch Receives UnicastBridge와 Switch는 수신한 패킷의 D-MAC이 본인과 일치하면 본인이 처리해야 하는 상위 Layer의 Header 정보를 확인하며 이때, Bridge나 Switch에 IP 설정이 없으면 수신한 패킷의 상위 Layer 정보와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해당 패킷은 Dro.. 2024. 4. 6.
Control Plane vs Data Plane 1. Control Plane 및 Data Plane 비교1) Control PlaneData Plane에 의해 수행되는 Packet Forwarding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음CPU를 이용해 처리하는 영역Routing Protocol이 동작하는 단계MPLS의 Label 교환도 Control Plane에 해당Control Plane의 정보를 이용하여 Data Plane(Forwarding Table)에 정보를 기록Ex) Control Plane인 Routing Protocol이 동작하여 Data Plane인 FIB에 정보를 기록  2) Data PlaneControl Plane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일반적으로 FIB Table은 Longest Match Rule 때문에 32bit가 제일 위에.. 2024. 4. 5.
Network 구성 방식 Network 구성 방식에 Non-Broadcast 환경도 있지만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Non-Broadcast에 대한 설명은 생략1. Network 구성 방식1) Point-to-Point1:1 통신 방법목적지 주소를 브로드캐스,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상관없음 2) Broadcast Multi-accessBroadcastD-MAC이 Broadcast인 Frame을 전송할 때 동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비에게 도달할 수 있는 네트워크Multi-Access 환경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장비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2024. 4. 4.
IPv4 Header 1. IPv4 Header1) IPv4 HeaderFieldDescriptionVersion❍ IP Version을 표시HL❍ Header Length의 약어❍ 옵션을 포함한 헤더 전체 길이ToS❍ Type of Service의 약어❍ 트래픽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Field❍ DSCP와 ECN으로 구분Total Length❍ IP 패킷의 전체 길이 (L3H + Data)Identification❍ 해당 Field를 이용하여 분할된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같은 데이터 조각인지 구분 가능❍ 패킷을 송신하는 장비가 패킷에 ID를 부여하여 원래 하나의 패킷이었는지 표시IP Flag❍ X bit - 현재 미사용❍ D bit (Do not Fragment) - D=0 : 데이터를 분할 가능 - D=1 : 데이.. 2024. 4. 3.
Subnetting(FLSM, VLSM) 1. Subnetting vs Supernetting1) SubnettingIP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것Subnetting을 하여 분리된 각 Network를 Subnet이라 명칭 2) Supernetting작은 네트워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합치는 것여러 경로를 하나의 경로로 축약  2. FLSM vs VLSM1) FLSM(Fixed-Length Subnet Mask)하나의 네트워크를 동일한 Subnet Mask로 Subnetting 하는 것 2) FLSM 계산 방법 예시192.168.32.0/24를 25개의 Host가 있는 Network로 Subnettng네트워크 수가 기준일 때는 왼쪽부터, 호스트 수가 기준일 때는 오른쪽부터 계산25개의 Host가 필요하므로.. 2024. 4. 2.
Mask(Subnet Mask, Wildcard Mask) 1. Subnet Mask1) Subnet Mask네트워크에서 'Mask'라는 단어가 나오면 '가린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쉽게 이해IP의 Network-ID와 Host-ID를 구분하는 역할IP와 AND 연산을 통해 Net-ID, Host Address Range, Broadcast-ID를 구분Network ID가 동일해도 Broadcast ID가 상이하면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것2진수로 표기 시, '0' 오른쪽에 '1' 사용 불가ex)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01 . 0000 0000 → 사용 불가능ex)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사용 가능2개의 IP를 사용할 때, /30을 사용하면 2개의 IP 낭비가 발.. 2024. 4. 1.
IPv4 Overview 1. IP Overview1) IP OverviewIP Address는 Network Layer의 식별자로 사용IP Address는 항상 Subnet Mask와 같이 사용IP Address와 Subnet Mask를 같이 사용하여 Network ID, Host IP Range, Broadcast ID를 구분 가능  2. 공인 IP(Public IP) vs 사설 IP(Private IP)1) 공인 IP(Public IP)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 식별 번호인터넷에서 외부로 공개된 IPIP 할당 과정 : ICANN → APNIC(아시아 태평양 지역) → KRNIC → ISP → 개인 2) 사설 IP(Private IP)공용 IP 수의 제한으로 사설 IP 생성내부적으로 임의로 통신하기 위해 사설 IP 적용인.. 2024. 3. 31.
Ethernet Auto-Negotiation 1. Ethernet Auto-Negotiation1) Ethernet Auto-Negotiation Overview연결된 두 장비의 Speed, Duplex Mode, Flow Control을 자동으로 맞추어주는 설정IEEE 802.3 표준의 Clause 28(Twisted-Pair), Clause 37(1000BASE-X)에 대하여 규정Auto Negotiation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Link Pulse를 전송하여 Negotiation을 진행Link Pulse에는 해당 포트가 지원하는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이기종 간 Auto-Negotiation이 정상적으로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해당 경우에는 수동으로 직접 설정하여 운영두 장비의 포트가 Auto-Negotiation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두 포.. 2024. 3. 30.
Ethernet Overview 및 Header 1. Ethernet Overview1) Ethernet OverviewEthernet 프로토콜은 'MAC'이라는 주소를 사용CSMA/CD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버스형 토폴로지 사용장점 : 트래픽 제어 간단, 비용 저렴, 확장 용이단점 : TS가 복잡, 병목현상 가능성 존재 2) MAC(Media Access Control)IEEE 802에 속해있는 Ethernet, Wi-Fi, Bluetooth 등에서 통신을 위한 식별자(주소)MAC Address가 Data-Link Layer의 식별자로 사용Data Link Layer 기반의 통신을 하기 위해 설계가 되었으므로 동일 Broadcast Domain 내에서만 유일하게 존재하면 통신 가능IPv4에서는 6byte로 'EUI 48'형태로 규격화되어 사용48bit.. 2024. 3. 29.
CSMA/CD 1. CSMA/CD OverviewEthernet의 기본적인 통신 원리데이터 전송 후,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 발생 시,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1)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전송 후 충돌을 감지하고 재전송하는 방식 2) CS(Carrier Sense)데이터 송신 전, 네트워크에서 다른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는지 신호를 보내어 확인Idle State일 시, 전송 시도Busy State일 시, 대기 3) MA(Multiple Access)'Multi-Access'라는 네트워크 환경 4) CD(Collision Detection)데이터 충돌 시 모든 단말로 JAM 신호를 보내어 충돌되었음을 통보JAM 신호 : 32~48bit충돌 발생 .. 2024.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