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Switching, Routing Basic11

Introduction to BFD 1. Introduction to BFD(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1) Introduction to BFD(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BFD는 두 시스템 사이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대비하여 사용Overhead가 작고 짧은 시간(1s 이내)에 장애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D-Port가 3784이며 S-Port가 49152~65535에 해당하는 UDP를 통해 송신장비 양단의 Interface와 Routing Protocol에서 BFD Enable 시, Session 생성Session이 맺어질 때 BFD Timer가 협상Router Interface에 BFD를 설정한다고 해서 BFD Session 연결 시도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R.. 2024. 5. 20.
Static Routing CPE Check(Nokia 7750 SR) 1. Introduction to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Check1) Introduction to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Check'cpe-check' 옵션 추가 시, CPE 장치로 지정한 IP Address에 대해 Background ICMP Ping Test를 시작ICMP Request를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해당 D-IP를 보유한 장비 생존 확인  2. Static Routing CPE Check현재 위와 같은 Topology에 Interface만 구성되어 있는 상태 R1에서 3.3.3.3/32 네트워크에 대해 Next-Hop을 2개 설정하여도 Next-Hop IP가 가장 낮은 Route를 Active로 선택Nokia 7750 .. 2024. 5. 19.
Floating Static Routing(Nokia 7750 SR) 1. Introduction to Floating Static RoutingFloating Static Route는 Static Route가 Primary Path보다 더 높은 Preference(AD) 값으로 설정되어 Primary Path가 Down 되면 자동으로 Secondary Path인 Static Route가 사용되는 구성일 때 언급하는 용어이때, Primary Path는 Static Routing 또는 Dynamic Routing을 사용하여 구성 가능Secondary Path인 Static Routing으로 설정한 Route가 Primary Path로 구성한 Route보다 Preference(AD) 값을 더 높게 설정이번 본 글에서 Primary Path도 Static Routing Prot.. 2024. 5. 18.
Static Routing Option(Nokia 7750 SR) 1. Introduction to Static Routing Option각 Option 별로 Preference 및 Metric 값 수정 가능1) Next-Hop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사용되는 Next-Hop IP가 Direct로 구성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Next-Hop인 인터페이스가 State가 변경되면(Up→Down 또는 Down→Up) Event가 생성되고 Trap이 상승해당 Event의 생성은 기본적으로 Disableconfigure log event-control에서 추가적인 명령어를 입력해야 사용 가능 2) Black-Hole해당 옵션은 Route가 Black-Hole 임을 지정수신된 Packet의 Destination IP Address가 Black-Hole로 설정된 Route와 일치하면 자동.. 2024. 5. 17.
Introduction to Static Routing 1. Static Routing Protocol Pros and Cons1) Static Routing ProsProcess 및 Bandwidth 사용량이 비교적 낮음관리자가 각 네트워크마다 원하는 방향으로 Routing 설정 가능 2) Static Routing Cons관리자가 수동으로 각 네트워크마다 Routing 설정 필요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없어 관리자의 개입이 필요대규모 네트워크에서 Route 설정 시, 오류 발생 가능성 증가  2. Static Routing Type1) OIF(Outgoing Interface)Static Routing을 Next-Hop이 아닌 OIF(Outgo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설정 Static Routing을 OIF로 설정 시, Routing .. 2024. 5. 16.
RTM 및 FIB 생성 과정 1. RTM 및 FIB 생성 과정1) RTM(Routing Table Management) 생성 과정각 Routing Protocol에서 학습한 Network 정보를 Database에 정보를 저장각 Routing Protocol에 해당하는 Database에서 각 Routing Protocol에 해당하는 Algorithm을 계산하여 결괏값을 RIB(Routing Information Base)에 저장각 Routing Protocol에서 학습한 Route 중, Best-Path가 RIB에 저장여러 Routing Protocol에서 학습하여 Best-Path로 선출한 정보인 RIB 정보를 RTM으로 전송RTM은 모든 Routing Protocol에 대한 RIB 정보가 존재 2) FIB(Forwarding In.. 2024. 5. 15.
Routing Table Selection and Routing Protocol Type 1. Default-Route vs Default-Gateway1) Default-Route라우팅 기능과 함께 동작 2) Default-Gateway라우팅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장비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Default-Gateway는 동작하지 않다가 라우팅 기능이 정지되면 동작  2. Routing Protocol Type  3. Routing Table Selection1) Routing Best-Path Selection 단계라우터가 각 Route마다 Best-Path를 선출하는 단계Algorithm(Metric) → AD → Longest Match라우터가 수신되는 Packet을 Best-Path로 처리하는 단계Longest Match → AD → Algorithm(Metric.. 2024. 5. 14.
IGP vs EGP 1. IGP vs EGP Overview1) IGP(Internet Gateway Protocol) Overview같은 AS 안에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Next-Hop까지 경로를 알려주는 것단일 AS 안에서 동작하는 Routing Protocol (RIPv2, OSPF, EIGRP)인터넷의 모든 장비를 한 번에 관리하기 힘들어 영역으로 나눠 관리 (영역 : AS) 2)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Overview다른 AS에 있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Next-Hop까지 경로를 알려주는 것EGP는 IGP를 사용하는 하나의 망을 하나의 라우터처럼 생각하고 처리서로 다른 AS 간에 동작하는 Routing Protocol (EGP, BGP)AS 간에 Best-Path를 선출 3.. 2024. 5. 13.
Distance Vector vs Link-State 1. Distance Vector vs Link-State Overview1) Distance Vector OverviewDistance 의미해당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거리 정보상대방에 따라 결정Distance = 거리Vector 의미해당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방향 정보본인이 받은 방향으로 결정Vector = 방향 (interface)RIP의 알고리즘(Bellman-Ford)은 RIP DB를 주기적으로 복사본을 전달모든 DB를 통째로 송신(Full DB Update)광고 받은 정보로 라우팅해야 하므로 광고 받은 정보를 신뢰직접 경로 계산이 불가능전체 토폴로지를 모름Loop 발생 위험이 존재Ack가 없어 상대방이 어떤 정보를 못 받았는지 확인 불가상대적으로 Convergence Time이 많음 2) Lin.. 2024. 5. 12.
Switching vs Routing 1. Switch vs Router 비교요즘 네트워크 장비의 Hardware를 기준으로 확실하게 Switch와 Router를 구분 불가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값에 따라 Switch나 Router로 동작즉,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값에 따라 Router Interface나 Switch Interface로 동작1) Switch프레임 수신 시, L2 Header를 De-Encapsulation 과정 미진행D-MAC을 확인만 수신된 프레임의 D-MAC이 본인 MAC이 맞으면 직접 처리, 아니면 FDB를 참조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Broadcast Domain끼리 통신 불가능 2) RouterRouter Interface가 존재해야 서로 다른 Broadcast Domain 간 통신이 가능Routing이라는 프로.. 2024. 4. 10.
Switch 기능 다른 블로그에서 Switch 기능에 Filtering 기능을 함께 소개하는 곳이 많은데 여기서 Filtering 이란, Frame 수신 시, 수신된 포트로 Frame을 전송하지 않는 기능으로 Flooding 기능 및 Forwarding 기능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므로 Filtering 기능을 함께 소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1. Switch 기능1) Learning 기능Switch가 Frame을 수신했을 때, S-MAC 정보를 확인하고 FDB(Mac Table)에 해당 정보가 없으면 Learning 하고 해당 Frame을 FloodingSwitch의 초기 상황에서 Frame 수신 시, S-MAC을 기반으로 FDB 학습 2) Flooding 기능Frame을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F.. 2024.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