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Switching, Routing Basic

Introduction to Static Routing

by 최개미의 세계 2024. 5. 16.

1. Static Routing Protocol Pros and Cons

1) Static Routing Pros

  • Process 및 Bandwidth 사용량이 비교적 낮음
  •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마다 원하는 방향으로 Routing 설정 가능

 

2) Static Routing Cons

  • 관리자가 수동으로 각 네트워크마다 Routing 설정 필요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없어 관리자의 개입이 필요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Route 설정 시, 오류 발생 가능성 증가

 

 

2. Static Routing Type

1) OIF(Outgoing Interface)

  • Static Routing을 Next-Hop이 아닌 OIF(Outgo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설정

 

  • Static Routing을 OIF로 설정 시, Routing Table에 Direct로 표시
  • Proxy ARP가 발생되기 때문에 보안 문제 발생 가능
    • Client가 임의의 IP로 Ping 시도 시, Next-Hop이 자신의 MAC Address로 ARP Reply를 송신
    • 단, Next-Hop 장비 Routing Table에 D-IP에 대한 Network 정보가 있어야 하며 Client 방향 포트(e0/0)에 Proxy ARP가 Enable 되어있어야 통신 가능
    • R2 e0/0에 Proxy ARP가 Enable 되어 있으면 D-IP가 본인이 아니더라도 본인의 MAC Address로 ARP Reply 송신 가능

 

2) Next-Hop

  • Static Routing을 Next-Hop을 이용하여 설정
  • 위 설정으로는 Proxy ARP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라우터에서 Proxy ARP Disable이 되어있어도 양단 통신 가능

 

  • 옛날 장비는 Next-Hop으로 나가기 위해 Routing Table을 Recursive Lookup (1 or 2회)을 실행하므로 Resource Issue 발생
  • 요즘 장비는 Packet 수신 시, CEF(FIB) Table을 참고하기 때문에 Recursive Lookup이 발생하지 않음

 

  • 요즘 네트워크 장비 기준으로 R1 OIF(e0/0) Down 시, 192.168.1.0/24 Network 대역도 제거
  • 옛날 네트워크 장비는 R1 OIF(e0/0)이 Down 되더라도 192.168.1.0/24 Network 대역이 제거가 안 되는 경우가 존재
    • 위 Topology 기준으로 R1 e0/0이 Down 되어도 Routing Table 192.168.1.0/24 Network 대역이 유지
    • 옛날에는 이와 같은 문제로 Routing 문제가 발생

 

3) OIF(Outgoing Interface) & Next-Hop

  • Static Routing을 OIF(Outgoing Interface)와 Next-Hop을 이용하여 설정
  • OIF 또는 Next-Hop만을 사용하여 Static Routing을 구성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

 

  • OIF의 문제점인 Proxy ARP 해결
  • Next-Hop 문제점인 Recursive Lookup 및 통신 Routing 이상 문제 해결
  • Routing Table에서 Static으로 설정한 Route가 Direct로 인식하지 않음
  • BGP처럼 TCP로 경로를 받으면 Next-Hop만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