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Switching, Routing Basic

IGP vs EGP

by 최개미의 세계 2024. 5. 13.

1. IGP vs EGP Overview

1) IGP(Internet Gateway Protocol) Overview

  • 같은 AS 안에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Next-Hop까지 경로를 알려주는 것
  • 단일 AS 안에서 동작하는 Routing Protocol (RIPv2, OSPF, EIGRP)
  • 인터넷의 모든 장비를 한 번에 관리하기 힘들어 영역으로 나눠 관리 (영역 : AS)

 

2)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Overview

  • 다른 AS에 있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Next-Hop까지 경로를 알려주는 것
  • EGP는 IGP를 사용하는 하나의 망을 하나의 라우터처럼 생각하고 처리
  • 서로 다른 AS 간에 동작하는 Routing Protocol (EGP, BGP)
  • AS 간에 Best-Path를 선출

 

3) IGP vs EGP 비교

구분 IGP EGP
Priority ❍ Convergence Time에 초점을 둠 ❍ 모든 인터넷을 관리하므로 Scalability에 초점을 둠
❍ 큰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목적
Algorithm ❍ Continuity을 보장하기 위한 알고리즘 ❍ Stability에 초점을 둔 알고리즘
Update ❍ 네트워크 변경 시. Triggered Update
❍ 주기적으로 업데이트(Distance Vector)
❍ 네트워크 변경 시, Triggered Update
❍ 해당 네트워크가 Flapping 시 일정 시간 후 최종 정보만 Update
Select Path ❍ Algorithm 기반으로 Best-Path 결정 ❍ Policy 기반으로 Best-Path 결정
❍ Policy 설정이 없을 시, Default Policy로 결정
Protocol ❍ UDP or Unused(UDP, TCP 사용 X) ❍ TCP

 

'네트워크 > Switching, Routing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ating Static Routing(Nokia 7750 SR)  (0) 2024.05.18
Static Routing Option(Nokia 7750 SR)  (0) 2024.05.17
Introduction to Static Routing  (0) 2024.05.16
RTM 및 FIB 생성 과정  (0) 2024.05.15
Routing Table Selection and Routing Protocol Type  (0) 2024.05.14
Distance Vector vs Link-State  (0) 2024.05.12
Switching vs Routing  (0) 2024.04.10
Switch 기능  (0)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