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Switching, Routing Basic

Switching vs Routing

by 최개미의 세계 2024. 4. 10.

1. Switch vs Router 비교

  • 요즘 네트워크 장비의 Hardware를 기준으로 확실하게 Switch와 Router를 구분 불가
  •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값에 따라 Switch나 Router로 동작
    • 즉,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값에 따라 Router Interface나 Switch Interface로 동작

1) Switch

  • 프레임 수신 시, L2 Header를 De-Encapsulation 과정 미진행
    • D-MAC을 확인만
  • 수신된 프레임의 D-MAC이 본인 MAC이 맞으면 직접 처리, 아니면 FDB를 참조
  •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Broadcast Domain끼리 통신 불가능

 

2) Router

  • Router Interface가 존재해야 서로 다른 Broadcast Domain 간 통신이 가능
  • Routing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경로를 수집한 후, 경로를 선택
  • 수신된 패킷의 D-IP가 본인 IP가 맞으면 직접 처리, 아니면 Routing Table을 참조

 

 

2. Switching vs Routing 비교

1) Switching

  • 아래 경우일 때 네트워크 장비에서 패킷이 Switching이 되었다고 정의
    • 패킷이 송수신될 때 수신되는 인터페이스 IP와 송신되는 인터페이스 IP가 동일할 때
    • 즉,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가 동일 VLAN, 동일 IRB에 속해있을 때
  • 스위칭할 때는 FDB 정보를 기준으로 MAC Address 변경 없이 패킷을 전달
  • Host 및 Router는 MAC Address에 의한 Switching을 하지 않으므로 프레임을 수신하여도 S-MAC Learning은 하지 않음

 

2) Routing

  • 아래 경우일 때 네트워크 장비에서 패킷이 Routing이 되었다고 정의
    • 패킷이 송수신될 때 수신되는 인터페이스 IP와 송신되는 인터페이스 IP가 다를 때
    • 즉,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가 다른 VLAN, 다른 IRB, 다른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속할 때
  • 라우팅할 때는 Routing Table, ARP Table, FDB 등 필요한 Table 정보를 기준으로 패킷을 전달
    • 이때, IP Header의 TTL은 1 감소하고 Ethernet Header의 MAC Address를 변경
  • 만약 라우팅할 때 S-MAC을 변경하지 않고 전송하게 되면 패킷을 받은 라우터는 누구로부터 송신된 패킷인지 확인이 불가하고 D-MAC을 변경하지 않고 전송하게 되면 패킷을 받은 라우터는 D-MAC이 본인 MAC이 아니므로 라우팅을 하지 않고 바로 Drop

 

'네트워크 > Switching, Routing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ating Static Routing(Nokia 7750 SR)  (0) 2024.05.18
Static Routing Option(Nokia 7750 SR)  (0) 2024.05.17
Introduction to Static Routing  (0) 2024.05.16
RTM 및 FIB 생성 과정  (0) 2024.05.15
Routing Table Selection and Routing Protocol Type  (0) 2024.05.14
IGP vs EGP  (0) 2024.05.13
Distance Vector vs Link-State  (0) 2024.05.12
Switch 기능  (0) 2024.04.09